IoT
posted by 악마의상상 2016. 12. 19. 09:26

학습용 보드로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lattepanda 는 라즈베리파이와 다르게 전원을 인가 한 후 


내장된 아두이노와의 초기화(실드캔 쪽에 파란불이 반짝거림)를 기다린 후 빨간 불이 사라지면


파워버튼을 눌러야 비로소 컴퓨터를 부팅하 듯 작동 할 수 있다.


만약 원격지에서 이를 재부팅 하거나 특정 상황에 의하여 강제로 전원이 나갔다가 들어온 경우라면?


또는 케이스 등을 제작하여 보드를 보호한 경우라면?



이를 해결 하기위해 github를 통하여 전원 인가시에 윈도우 부팅 까지 수행하는 bios를 제공한다.




아래 링크를 가서 확인하고 420M 파일을 다 받기 싫으면 좀더 내려서 바이오스만 올려둔 파일을 받아도 무방합니다.



https://github.com/LattePandaTeam/LattePanda-Win10-Software



420M나 된다.



본인이 원하는 자동 부팅 파일은 아래 그림과 같이 얼마 안된다.





1. 기본 바이오스

2. 자동부팅 바이오스

   2.1 32bit 바이오스

   2.2 64bit 바이오스




언제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 될지모르지만 단지 바이오스만 필요한사람을 위해 파일을 올려둡니다.


1. 기본 바이오스 (자동부팅으로 간 후에 다시 돌아오시는 분이 있을까 싶어 32,64bit 묶어 올립니다.)

Default Bios.zip


2. 자동부팅 32bit

LattePanda 2G 32GB.zip


3. 자동부팅 64bit

LattePanda 4G 64GB.zip



파일이 준비 되었다면 집에 굴러다니는 usb를 준비하세요 


저는 256M Micro SD 카드를 usb 젠더를 통하여 만들었습니다.


FAT32 로 포멧을 해주신 후에 루트(폴더의 최상위)위치에 파일을 복사합니다.




이제 준비된 usb를 가지고 판다에 삽입 후 재부팅 또는 파워 온 하신 후 기다리세요


자동으로 처리 되겠지 하고 어디가면  바이오스 업데이트 하겠냐고 물어보는  메세지 몇초 기다려 준 후에 부팅되어버립니다.


정상적으로 수행 했다면 바이오스 메모리를 삭제 하는 퍼센트 수치가 올라가고 다시 쓰기 올라가고

몇번의 작업을 한 후에 다음과 같은 마무리 창이 나옵니다.



정상적으로 처리가 되었다면 bios usb를 제거한 후 과감히 5pin 전원도 제거하세요


그런 후 5pin 파워를 다시 연결 후 윈도우 부팅까지 자동으로 수행되는지 확인하면 끝.



posted by 악마의상상 2016. 11. 16. 10:58

카드 재발급 하면서 카드번호 바꾸러 들어가니 메인화면에 나눠주기가 가능하다는 광고를 하네요.




일반적으로 한달에 두번 가능한것 같습니다 


가족결합시에는 4회 가능한것 같구요.


저는 휴대폰을 잘 안만져서 홈페이지 위치를 먼저 공유합니다.




현재는 100~1GB까지 주기가 가능하네요.



어플 위치입니다.



posted by 악마의상상 2016. 11. 14. 10:32


IoT, WoT 공부를 하는 학생들이라면 접할 수 있는 책


해당 책에서 nodejs 를 설치 하는 방법은 매우 간단하다.


1. https://nodejs.org/en/download/ 에서 자신의 pi에 맞는 버전 nodejs 압축 파일을 받는다.


2. 압축을 푼다.


3. 실행해본다..


아주간단하다 방법도 책에 명시가 되어있다.





실제 접속 화면이다 현재 스크린샷은 2016-11-14 기준이다.


상기 화면에 wget 을 통한 다운로드를 그대로 타이핑 했거나

e-book 을 통해  복사,붙여넣기 했다면 문제가 안된다.


빨간색으로 강조해둔 부분이 바로 그부분인데 


newer 4.x version should also work 이부분... 더 새로운 4.x버전도 작동가능하다...


이부분.. 나를 몇일간 멘붕상태로 만들어간 이부분....


나처럼 https://nodejs.org/en/download/ 에 직접 접속한 후 pi버전에 맞게 링크만 복사하여 다운로드 한경우 

2016-11-14 기준 화면.  v6.9.1



4장까지 문제가 없다..


오 그냥 최신버전이면 상관 없는거였구나 하고 넘어감....




해당 책은 이미 github를 통하여 미리 작성된 소스코드를 통해 따라할 수 있도록 되어있고


단순히 기능들을 rebuild 하거나 인스톨 하는 것으로 예제를 테스트 가능한데



7장에서 예제를 따라하도록 설명 되어있고 실행해보라는 구문이 나온다. 


그러나 


Object.observe()



에러를 만나게 된다.

뭐지?????

건성으로 하다가 패키지를 하나 빼먹었나?

npm install --save  (github에서 지정해준 버전을 모두 설치하는 기능)
.
.
.
Err!! 'make' 어쩌고어쩌고

수도 없이 설치를 시도하고 권한을 주고 재설치를하고  패키지들이 버전문제를 일으키나 싶어 책에 나온 버전들로 재설치 해봐도

죽어라 make 오류..

OS가 깨졌나? 

SD포멧부터 재수행

또 오류 권한 계정 검색 모든 것을 처음부더 다시 몇번을 재수행...

멘붕의 몇일이 지나면서 포기하고 책이나 읽어보자...

대략 10장이 안되는 페이지를 넘어가는 도중 

이 구현의 핵심은 Object.observe () 함수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등록을하면 객체에 발생하는 변경 사항을 비동기 적으로 관찰 할 수 있습니다.


그래 근데 그게 안된다고..

또 한숨을 한번 쉬고 무심코 넘어가려는데 


이 기능은 버전 0.11.13 이후 Node에서 지원되었으며이 책에서 사용하는 현재 노드 LTS v4.X에서 사용할 수 있지만 향후 LTS에서 제거 될 수 있........

야이 @#$!#!@%^^$%&%^*!#! 일찍말하라고!!!!!

4.6.2 버전을 받아 실행

터무니없게 잘돌아간다...


nodejs를 공부하다가 

Object.observe() 

에러가 난다면

node -v를 먼저 실행해 자신의 버전부터 보기를 바랍니다.